- 바이오스(UEFI) 진입 방법과 부팅 순서 변경 방법
- 바이오스(UEFI) 진입 방법과 부팅 순서 변경 방법에 대한 설명은 윈도우 10이나 윈도우 11 운영체제를 PC에 클린 설치할 때, 진입해서 설정을 변경해야 할 때 사용해야 하는 방법입니다. 노트북과 데스크톱 PC에서 바이오스(UEFI)에 진입하는 방법과 바이오스(UEFI)에서 부팅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한 번쯤은 '바이오스'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윈도우 설치를 하거나, 컴퓨터에 문제가 생겼을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데요. 사실 바이오스는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설정을 담당하는 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BIOS)란 무엇일까요?
바이오스는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로, 컴퓨터가 부팅될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확인하고, 부팅 순서를 설정하는 등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담당합니다. 최근에는 UEFI라는 새로운 표준이 등장하면서 BIOS를 대체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BIOS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할까요?
윈도우 설치: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거나 USB 메모리에서 부팅하여 설치할 때 바이오스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해야 합니다.
부팅 문제 해결: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거나, 특정 장치가 인식되지 않을 때 바이오스 설정을 확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버클럭: CPU나 메모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버클럭을 할 때 바이오스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하드웨어 추가: 새로운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을 추가할 때 바이오스에서 인식시켜 주어야 합니다.
바이오스 설정, 어렵지 않아요!
바이오스 설정이라고 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가지 기본적인 설정만 알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컴퓨터를 부팅할 때 특정 키(F2, Del 등)를 누르면 바이오스 설정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 설정 화면은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메뉴를 가지고 있습니다.
Main: 시스템 정보, 날짜 및 시간 설정 등
Advanced: 고급 설정 (CPU 설정, 메모리 설정 등)
Boot: 부팅 순서 설정
Exit: 설정 저장 및 종료
바이오스 설정 시 주의할 점
잘못된 설정은 컴퓨터를 부팅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기 전에 반드시 백업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설정을 건드릴 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이 변경하고 싶은 설정만 변경하고, 나머지는 기본값으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오버클럭은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무작정 오버클럭을 시도하다가 컴퓨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을까요?
바이오스 설정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컴퓨터 제조사의 홈페이지나 사용 설명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신이 사용하는 컴퓨터 모델에 맞는 바이오스 설정 방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댓글0